top of page

[Series Column] 미래 도시물류 시스템 및 서비스의 운영 시나리오 기반 안전분석을 통한 SW운영 신뢰성 확보 2편



Ⅱ. 미래 도시물류 서비스란

미래 도시물류 서비스에 대한 정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미래 도시 물류 서비스는 자동화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 향상과 운송되어야 할 물품에 대한 신속한 처리를 위해 발전하고 있다.

물류는 배송이 필요한 물품을 발송하는 송하인과 발송된 물품을 수령하는 수하인을 그 시작과 끝으로 볼 수 있다.

송하인으로부터 출발 된 물품을 수하인에게 운송하기 위해서는 물류 프로세스를 통한 운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지능형 물류 서비스가 중요한 요소로 적용된다. 기존의 물류 프로세스는 발송된 물품에 대한 운송 정보 확인이 어렵고 수작업을 통한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운영 효율성이 높지 않았다. 또한, 운송 중인 화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 확인과 정보의 통합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보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SW 기술과 Io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물류 서비스 기반의 복합물류시스템으로 물류 프로세스에 활용되는

각 장치에 대한 정보 확인 및 관제가 가능하고 운송되는 화물의 위치 확인과 운송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관련 기술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물류의 확장성을 높이고 있다.


[그림 1] 도시 물류 서비스 기반의 도시물류 구성 개념도


지능형 토탈 물류 서비스 기반의 복합물류시스템은 [그림 1]과 같이 물품을 운송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송하인으로부터 배송이 필요한 화물을 택배기사(Courier Service)나 이송형 배송로봇(Robot Delivery), 이송형 배송드론(Drone Delivery), 무인 택배보관함(Parcel Locker)에 전달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프로세스의 각 객체로 전달된 물품은 궁극적으로는 택배 기사를 통해 수거되어 지역의 서브터미널(Sub Terminal)로 운송된다. 서브터미널로 운송된 물품은 대형 운송 차량에 일괄 적재되어 허브터미널(Hub Terminal)로 운송된다. 허브터미널로 입고된 물품은 하차

자동화 하역 장치를 통해 하차되며 검수 후 목적지 정보에 따라 컨베이어, 소터(Sorter)와 같은 자동화 이송 장치를

통해 분류된다. 물품의 특성에 따라 임시 보관되는 경우도 있으며 출고를 위해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장착한 모바일 로봇에 의한 피킹 후 상차되는 프로세스의 경우도 구성되어 있다. 입고된 대부분의 화물들은 센싱 장비를 통한 송장 및 상품 정보 인식 후 지역별 슈트로 분류되어 목적지별 차량에 자동화 상차 장비를 통해 적재 후 출고되게 된다. 목적지별 차량에 적재되어 운송되는 물품들은 다시 각 지역의 서브터미널로 운송되며 서브터미널에서 지역의 배송

구역별 분류 후 택배기사, 이송형 배송로봇, 이송형 배송드론을 통해 수하인에게 직접 배송되거나 임시 보관을 위한

무인 택배보관함에 물품을 배송하여 프로세스를 완료하게 된다. 자동화 기술과 네트워킹 기술 그리고 센서를 통한

인식 기술의 발전으로 지능화 물류 서비스 기반의 복합물류시스템은 터미널의 운영 효율성 향상을 구현하고 있으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배송을 위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Ⅲ. 물류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규제 동향

물류 시스템은 다수의 시스템이 결합된 복합 시스템이다. 지능화 물류 서비스 기반의 복합물류시스템은 물품의 배송을 완료하기 위해 다수의 시스템들이 결합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화 장비, 운영 시스템, 자동화 로봇 등에 대한 고려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림 2]와 같이 송하인으로부터 출발된 물품은 수하인에게 전달되기 위해 집하, 수송, 배송의 과정을 거치며 이를 위해 허브터미널과 서브터미널을 거치게 된다. 각각의 서브터미널은 지역별로 구축되어 배송이 필요한 물품을 집하하여 수송차량을 통해 거점별로


[그림 2] 도시 물류 서비스 운영 프로세스 및 관련 규제요소

위치한 허브터미널에 물품을 전달하고 허브터미널에서 분류된 물품을 다시 각 지역의 서브터미널로 운송하여 수하인에게 배송하게 된다. 이러한 배송 프로세스에는 다양한 규제 요소가 관련되어 있으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다음편은 21년 12월 13일(월), SW안전기술 역량강화 프로그램 랜딩페이지에 게재 예정입니다.


 

◓ 참고문헌

[1] 문세하, “포스트코로나 시대 언택트 소비로 인한 소매공간 수요변화와 시사점”,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Vol.21, No.1, 2015, pp.11-17.


[2] 오재영, 문종근, 이진용, “수요기반 물류인증을 통한 물류산업 활성화 방안”, 스마트 공항 진화 동향과 유망 서비스 발굴-여객 니즈를 중심으로”, ETRI, Insight Report 2019-12, 2019, p.21.


[3] 민연주, 정승주, 정소영, “물류 4.0 시대 융복합 물류사업 발굴 및 지원 방안”, 한국교통연구원, Insight Report, 2017, p.21.


[4] 정민의, 유성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물인터넷 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기업측면의 비즈니스 모델혁신 방향을 중심으로. 지능정보연구, 2019, Vol. 25, No.2, pp.57-75.


[4] 국토교통부ㆍ해양수산부, “국가물류기본계획(2016-2025)”, 2016, pp.1-65.


[5] Magnusson, D, Torestad, B., A holistic view of personality: A model revisite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44, No. 1, 1993, pp.427-452.


[6] Y. J. Park, "The Design of the Container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Reflects the Port Logistics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2015, pp.159-167.


 

본 내용은 칼럼 작성자 개인의 의견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는 산업분야별로 달리 사용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조회수 271회댓글 0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