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W안전 가이드 개발·보급 활동 소개

추진 배경 및 필요성

SW역할이 커지고 중요해지면서 SW안전사고의 위험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SW 활용의 증가와 기능이 복잡해지면서 SW로 인한 사고가

막대한 생명 ∙ 재산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SW안전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또한 4차 산업에 따른 급격한 디지털 전환으로 미래 신산업분야에서의 SW안전 확보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은 SW안전에 대한 기술 요건과 적용을 강화하는 추세이나 국내 대다수 중소기업은 자금∙인력∙기술 부족으로 SW안전기술 역량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SW안전기술 역량강화를 위해 주요 SW안전기술 활용을 위한 실무 가이드를 개발, 보급하고 기업 현장의 SW안전기술 적용과 역량 강화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SW안전 국제표준 준수에 대한 요구

SW안전 국제표준 구성 체계

산업별품질관련 국제표준 준수 요구

사업소개_SW안전-국제표준-구성-체계.png
비행기 날개

항공산업

그림1.jpg

의료산업

그림2.jpg

자동차산업

추진 활동 및 기대효과

SW안전기술 역량 강화 활동

보다 실질적인 기업현장 SW안전기술의 활용과 확산 기여

“국내기업의 SW안전기술 역량 강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사업소개_이미지3(수정).png

SW안전이란?

SW 오작동 및 안전기능 미비로 사람의 생명·재산 피해를 줄 수 있는 SW시스템 사고 예방을 위해 SW 위험원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제거 또는 감소한 상태를 말합니다.

*위험(Risk): 피해 발생의 확률과 피해의 심각도의 조합, 위험원이 위해 ·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Probability)과 심각도(Severity)를 조합하는 것을 의미

**소프트웨어 역량: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능 수행 능력 및 그에 대한 품질 상태

소프트웨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장비에서 예상되는 위험원을 필요에 따라(예: 시스템의 기능안전 확보를 위해 소프트웨어

안전 기능을 구현하기로 한 경우 등)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제거·감소하거나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한 사고 위험 수준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전에 위험원 분석 등을 통해 위험한 상황을 미리 식별하고 적절한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위험 감소대책을 적용하거나, 소프트웨어 품질

수준을 확보하여 소프트웨어 문제로 발생가능한 사고로부터 충분한 대비를 해야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안전은 아래 그림과 같이 '소프트웨어를 통한 안전(Safety through software)와 '소프트웨어의 안전(Safety of software)를 모두 포함합니다.

사업소개_이미지2.png

[참조] 중소기업의 SW안전기술 역량강화를 위한 실무 가이드(2020.07.02.07)

 소프트웨어진흥법에서의 'SW안전'의 정의

외부로부터의 침해행위가 없는 상태에서 소프트웨어의 내부적인 오작동 및 안전기능(사전 위험분석 등을 통하여 위험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말한다) 미비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부터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위험에 충분한 대비가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bottom of page